Subscribe to Our Newsletter

Success! Now Check Your Email

To complete Subscribe, click the confirmation link in your inbox. If it doesn’t arrive within 3 minutes, check your spam folder.

Ok, Thanks
아마존, 제품에 관세 비용 표시 논란 속 '강하게 부인'...  백악관은 "적대적 행위" 비판
이미지 편집. /SNS 타임즈

아마존, 제품에 관세 비용 표시 논란 속 '강하게 부인'... 백악관은 "적대적 행위" 비판

아마존 공식 부인 속 이번 사건은 관세 정책의 경제적, 정치적 파급 효과 다시 한번 부각시켜

Jason Jung profile image
by Jason Jung

[SNS 타임즈- LA] 아마존이 제품 가격 옆에 미국의 관세 비용을 표시할 계획이라는 보도를 부인하며, 이와 관련된 논란이 화제가 되고 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관련된 정치적 긴장을 드러낸 사건으로, 백악관의 강한 반발과 소비자들의 엇갈린 반응을 불러일으켰다.

아마존의 공식 입장

아마존은 4월 29일, 펀치볼 뉴스(Punchbowl News)가 보도한 "아마존이 웹사이트에서 제품 가격 옆에 관세로 인한 추가 비용을 표시할 계획"이라는 주장을 즉각 부인했다[1].

아마존 대변인 팀 도일(Tim Doyle)은 "저가형 아마존 홀(Amazon Haul) 스토어 팀이 특정 제품에 수입 관세를 표시하는 아이디어를 검토한 적은 있지만, 이는 승인되지 않았으며 절대 시행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2]. 또한, 이 계획은 아마존의 메인 웹사이트에는 전혀 고려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2].

해외 주요 외신은 이번 논란을 신속히 다뤘다.

워싱턴 포스트는 아마존이 관세 비용 표시를 검토했다는 초기 보도가 백악관의 강한 반발을 초래했다고 전하며, 아마존이 이를 부인한 후 논란이 수그러들었다고 보도했다[3].

가디언은 백악관이 아마존의 초기 계획을 "적대적이고 정치적인 행위"로 비판했다고 전하며,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가 외국 기업이 아닌 미국 소비자와 기업에 비용을 전가한다는 점을 드러내고 싶지 않았을 것이라고 분석했다[4].

로이터는 아마존 홀에서만 잠시 검토된 아이디어였다고 보도하며, 아마존이 중국 기반의 테무(Temu)나 쉬인(Shein)과 경쟁하기 위해 저가형 제품에 관세 비용을 표시하는 방안을 논의했으나 최종적으로 거부했다고 전했다[5].

백악관 공식 입장

백악관은 아마존의 관세 비용 표시 계획 보도에 즉각적으로 반응했다.

백악관 대변인 캐롤라인 레빗(Karoline Leavitt)은 4월 29일 브리핑에서 "아마존의 이 같은 움직임은 적대적이고 정치적인 행위"라며 강하게 비판했다[6].

레빗은 "왜 아마존은 바이든 행정부 시절 40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치솟은 인플레이션에 대해서는 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나?"라고 반문하며, 아마존의 동기를 정치적이라고 몰아세웠다[6].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같은 날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조스(Jeff Bezos)에게 직접 전화해 이 계획에 대해 불만을 표출한 것으로 확인됐다. CNN에 따르면, 트럼프는 "왜 수십억 달러 규모의 기업이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하려 하느냐"며 강하게 반발했다[7].

이후 트럼프는 기자들에게 "베조스는 매우 훌륭한 사람"이라며, "그가 문제를 빠르게 해결했고 올바른 결정을 내렸다"고 언급했다[7].

이에 관해 소비자들의 반응은 엇갈리고 있다.

일부 소비자는 관세 비용 표시가 투명성을 높여 구매 결정을 돕는 좋은 아이디어라고 환영했으나, 다른 이들은 추가 비용 표시가 소비자 부담을 강조하며 쇼핑 경험을 저해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CBS 뉴스는 이미 테무와 쉬인 같은 경쟁 업체들이 관세 비용을 표시하거나 가격에 포함시키는 방식으로 소비자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보도했다[8].

소셜미디어에서는 이 주제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X의 @Grav1은 백악관이 아마존의 계획을 "적대적"이라고 비판한 점을 강조하며 소비자들이 관세로 인해 추가 비용을 부담하고 있음을 알리는 것이 정치적 행위로 간주된다고 언급했다[9].

또 다른 X의 @jdibert87은 아마존이 관세 비용을 표시하지 않기로 한 결정을 비판하며, "이는 중국산 제품을 피하고 미국산 제품을 선택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기회였다"고 주장했다[10].

반면, @TheWarKettle은 아마존이 이 계획을 부인하며 논란을 잠재웠다고 전했다[11].

일부 사용자들은 관세 비용 표시가 트럼프의 무역 전쟁의 실질적 영향을 드러낼 수 있었다며 아마존의 결정을 아쉬워했다[12].

논란의 배경

이번 논란은 트럼프 대통령의 공격적인 관세 정책과 맞물려 있다. 트럼프는 중국산 제품에 145%의 관세를 부과하고, 다른 모든 수입품에 10%의 기본 관세를 적용했다[13].

이는 소비자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경제학자들의 경고를 낳았다.

예일대 예산연구소는 중국의 보복 관세와 수입품 가격 상승으로 미국 가계가 연간 최대 3,300파운드(약 580만 원)의 추가 비용을 부담할 수 있다고 추정했다[14].

아마존의 초기 검토 계획은 이러한 관세 정책의 소비자 영향을 투명하게 드러낼 가능성이 있어 백악관의 민감한 반응을 유발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아마존이 이를 부인하며 논란은 일단락된 상태다.

결론적으로, 아마존은 관세 비용 표시 계획이 없었다고 공식 부인했으며, 백악관은 이를 정치적 행위로 규정하며 강하게 반발했다. 해외 외신은 이번 사건을 트럼프의 관세 정책과 관련된 정치적 갈등으로 조명했으며, 소비자와 X 사용자들은 투명성과 비용 부담 문제를 놓고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이 사건은 관세 정책의 경제적, 정치적 파급 효과를 다시 한번 부각시켰다.

- Copyright, SNS 타임즈 www.snstimes.kr

Jason Jung profile image
by Jason Jung

Subscribe to New Posts

Lorem ultrices malesuada sapien amet pulvinar quis. Feugiat etiam ullamcorper pharetra vitae nibh enim vel.

Success! Now Check Your Email

To complete Subscribe, click the confirmation link in your inbox. If it doesn’t arrive within 3 minutes, check your spam folder.

Ok, Thanks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