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지천댐 지역협의체 출범…첫 닻 올렸다!
김태흠 지사 “주민 우려 해소와 지역 발전 위해 노력”
[SNS 타임즈] 충남도가 청양·부여 지역 주민과 전문가로 구성된 ‘지천댐 지역협의체’를 공식 출범시키고, 27일 충남도청 상황실에서 첫 회의를 열었다.
(관련 현장 live 방송: https://www.thesnstime.com/mujogeon-raibeu-cungnam-jiceondaem-jiyeog-hyeobyice-guseong-hyeonjang-3-27il/)
이 협의체는 지천댐 건설과 관련된 주민 우려를 해소하고 지역 발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지천댐 지역협의체는 총 16명으로 구성된다. 청양군 주민 3명, 부여군 주민 6명, 전문가 4명, 그리고 충남도 물관리정책과장, 청양군 기획감사실장, 부여군 환경과장 등 당연직 3명이 참여한다.
협의체는 지난 12일 국가수자원관리위원회에서 심의·의결한 ‘제1차 하천유역수자원관리계획’에 지천댐(청양·부여)이 기후대응댐 후보지안으로 반영된 이후 구성됐다.
이날 회의는 김태흠 충남도지사와 협의체 위원, 관계 공무원 등 30여 명이 참석했다.
회의는 지천댐 지역협의체 구성 경과 보고, 위원장 선출, 운영규정 결정, 향후 일정 논의 순으로 진행됐다.
위원장으로는 주민 추천을 통해 박철곤 한양대 갈등관리연구소장이 선출됐다.
협의체의 주요 기능은 지천댐 기본구상 추진 여부 결정, 주민 우려 및 요구사항 해소, 댐 건설의 환경적·경제적·사회적 영향을 고려한 정책 대안 마련, 건설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해결 방안 제시 등이다.
김태흠 지사는 모두 발언에서 “기존 댐 건설 시 국가 지원금은 300억 원에 불과했으나, 댐건설법 시행령 개정으로 770억 원으로 늘어났다. 여기에 도 차원에서 1000억 원을 추가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청양·부여 지역의 관광 인프라 확충, 농축산 시설 현대화, 주거 환경 개선 등을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인구 유입 기회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또한 최근 환경부 장관과의 통화 내용을 언급하며 “청양과 부여 지역에서 환경부가 매년 시행 중인 상하수도 사업 일정을 앞당기고, 우선 지원받을 수 있는 부분을 적극 고려해 달라고 요청했다. 긍정적인 답변을 받아 770억 원 이상의 효과를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수몰 지역 주민들을 위한 대책도 제시했다.
김 지사는 “양지바른 곳에 동네를 만들어 주민들이 뿔뿔이 흩어지지 않도록 하고, 농업인들이 가까운 곳에서 농사를 계속 지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다만, 댐 건설에 반대하는 주민들이 이번 회의에 불참한 점에 대해 김 지사는 유감을 표했다.
그는 “반대하는 분들이 참석해 논의하면 오해가 풀릴 수 있는 부분이 있을 텐데 아쉽다”며, 추후 도와 청양·부여군 실무자들이 반대측을 찾아 댐 건설 관련 정보와 협의체 논의 내용을 전달하고 참여를 설득하겠다고 밝혔다.
지천댐은 청양군 장평면과 부여군 은산면 일원에 저수용량 5900만㎥ 규모로 건립될 예정이다. 이는 대청댐(14억 9000만㎥)의 4%, 보령댐(1억 1700만㎥)의 50% 수준이며, 본격 가동 시 하루 38만 명이 사용할 수 있는 11만㎥의 용수를 공급할 수 있다.
- Copyright, SNS 타임즈 www.sns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