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 22억 달러 국가 예산 동결... 미 교육부의 반유대주의 대응 요구 거부 이유
미 연방 교육부, 하버드 유대인 학생에 대한 괴롭힘용납될 수 없으며, 반유대주의 문제 심각히 다루지 않을 경우 연방 지원 받을 자격이 없다고 밝혀
[SNS 타임즈- LA] 하버드 대학교가 트럼프 행정부의 반유대주의 대응 요구를 거부하자, 연방 교육부가 하버드에 대한 22억 달러 규모의 다년 연구비와 6천만 달러 규모의 계약을 동결한다고 발표했다.
미국 교육부 산하 반유대주의 대응 태스크포스(Joint Task Force to Combat Anti-Semitism)는 4월 15일 성명을 통해 “하버드의 오늘 성명은 명문 대학에 만연한 특권 의식을 강화하며, 연방 자금 지원이 시민권법 준수 책임과 무관하다고 여기는 태도를 보여준다”고 비판했다.
여기서 ‘하버드의 오늘 성명’은 하버드 총장 앨런 M. 가버가 같은 날 대학 커뮤니티에 보낸 서한을 의미한다.
태스크포스는 하버드에서 유대인 학생에 대한 괴롭힘이 용납될 수 없으며, 반유대주의 문제를 심각히 다루지 않을 경우 연방 지원을 받을 자격이 없다고 밝혔다.
가버 총장은 4월 15일 “The Promise of American Higher Education”이라는 제목의 서한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요구가 수정헌법 제1조(표현의 자유)를 침해한다고 반박했다.
그는 “어떠한 정부도 사립 대학이 무엇을 가르치고, 누구를 입학시키고 고용하며, 어떤 학문 분야를 추구할지 지시해서는 안 된다”며, 자금 동결이 알츠하이머, 파킨슨병, AI, 양자 컴퓨팅 연구에 타격을 줄 것이라고 경고했다.
Axios에 따르면, 가버는 행정부의 요구가 “하버드의 지적 조건을 직접적으로 규제하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4월 11일 하버드에 보낸 서한에서 ▲입학·고용·운영에 대한 제3자 감사, ▲관점 다양성 점검, ▲인종·종교·성별에 기반하지 않은 의사결정, ▲미국 가치에 반하는 국제학생 입학 거부, ▲2028년까지 분기별 보고서 제출 등을 요구했다.
하버드는 이를 “정부의 법적 권한을 초과하는 요구”라며 거부했다.
가버의 서한은 처음 “하버드는 독립성과 헌법적 권리에 대해 협상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으나, 이후 “독립성을 포기하거나 헌법적 권리를 양보하지 않을 것”으로 수정되었다고 Axios는 전했다.
하버드 대변인은 수정 이유에 대해 논평을 거부했으나, 변호사는 정부에 “대화에는 열려 있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케임브리지 지역 주민과 공무원들은 4월 12일 집회를 열어 하버드에 연방 정부 요구를 거부할 것을 촉구했다.
이런 가운데 태스크포스는 하버드의 거부가 시민권법(Title VI) 위반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는 행위라고 비판하며 자금 동결을 정당화했다.
- Copyright, SNS 타임즈 www.sns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