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인플레이션 2.4%로 하락... 트럼프 정책으로 물가 안정 신호?
백악관, 이번 물가 안정이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한 규제 완화와 에너지 생산 확대 정책의 결과 강조
[SNS 타임즈- LA]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경제 정책이 물가 안정과 인플레이션 억제에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는 긍정적 평가가 제기되고 있다.
최근 발표된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데이터에 따르면, 미국의 연간 인플레이션율이 2.4%로 6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으며, 월간 물가는 -0.1%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처음으로 하락했다.
백악관은 이를 “트럼프 효과”로 명명하며, 규제 완화와 에너지 생산 확대 정책이 가계 부담을 줄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물가 하락과 경제 회복 신호
백악관은 3월 CPI 보고서를 통해 휘발유(-2.4%), 처방약, 항공료, 중고차, 자동차 보험료 등 일상 소비재와 서비스 가격이 하락했다고 밝혔다. 특히 처방약 가격은 사상 최대 월간 하락폭을 기록하며 소비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했다.
백악관은 “핵심 인플레이션(식품·에너지 제외)이 2021년 3월 이후 최저 수준”이라며, 실질 임금 상승으로 근로자들의 구매력도 향상됐다고 전했다.
스티븐 미란 경제자문위원회 의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며 미국 경제를 부흥시키고 있다”고 평가했다. 경제학자 E.J. 안토니는 “트럼프 집권 이후 평균 인플레이션율이 1.0%로, 바이든 행정부 시기의 3.1%나 최고 8.6%와 비교해 현저히 낮다”고 주장했다.
주요 언론도 긍정적으로 반응했다. CNN은 “월간 물가 하락은 코로나 이후 처음”이라며 예상 밖의 성과라고 보도했고, CNBC와 블룸버그도 트럼프 정책이 경제 회복에 기여했다고 분석했다.
백악관은 이번 물가 안정이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한 규제 완화와 에너지 생산 확대 정책의 결과라고 강조했다. 특히 화석 연료 생산 증가로 에너지 가격이 안정화되며 휘발유 가격이 전국적으로 하락했다.
백악관은 “바이든 행정부의 높은 인플레이션 시기를 극복하고, 미국이 경제적으로 부흥하고 있다”며, 인플레이션이 다시 치솟을 가능성은 낮다고 낙관했다.
관세 정책에 대한 엇갈린 전망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발표한 상호 관세 정책은 논란의 중심에 있다.
4월 5일부터 모든 수입품에 10% 기본 관세가 부과되었으며, 중국산 제품에는 125%의 높은 관세가 적용된다. 자동차 및 부품에는 4월 3일부터 별도의 25% 관세가 시행 중이다.
백악관은 이 정책이 국내 제조업을 보호하고 무역 적자를 줄여 장기적으로 경제 성장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관세가 단기적으로 물가를 상승시켜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가능성을 우려한다.
미국 상공회의소는 관세로 인해 공급망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고 경고했으며,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는 중산층 가계의 연간 소비 비용이 약 1,700달러 증가할 수 있다고 추정했다. 이는 경제 분석으로, 실제 결과는 정책 시행 후에 확인될 수 있다.
반면, 트럼프 행정부는 에너지 자립과 국내 생산 확대를 통해 이러한 부작용을 상쇄할 수 있다고 반박한다.
트럼프 행정부는 물가 안정세를 유지하며 경제 회복을 가속화하기 위해 추가적인 세금 감축과 규제 완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백악관은 “미국이 다시 돌아왔지만, 인플레이션은 그렇지 않다”며, 트럼프의 정책이 가계와 기업에 지속적인 혜택을 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관세 정책의 파급 효과와 재정 적자 확대 우려는 향후 경제 정책의 성공 여부를 가늠하는 주요 변수로 남아 있다.
- Copyright, SNS 타임즈 www.sns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