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 59조 원 투자 유치 성공… 기업가치 442조 원으로 평가
벤처 역사상 가장 큰 단일 투자 사례 중 하나. 투자에는 소프트뱅크, 마이크로소프트 등이 컨소시엄으로 참여.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xAI와의 경쟁 구도 주목.
[SNS 타임즈- LA] 챗GPT를 개발한 인공지능 선두주자 오픈AI가 일본 소프트뱅크가 주도한 투자 라운드에서 400억 달러(약 59조 원)를 유치하며 기업가치 3000억 달러(약 442조 원)로 평가받았다.
이와 관련해 보도한 월스트리트저널과 블룸버그에 따르면, 벤처 역사상 가장 큰 단일 투자 사례 중 하나다. 지난해 10월 1570억 달러였던 기업가치가 5개월 만에 두 배 가까이 상승했다.
이번 투자에는 소프트뱅크, 마이크로소프트 등이 컨소시엄으로 참여했다.
로이터는 자금이 오픈AI의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투입된다고 전한다. 이 프로젝트는 미국 내 AI 인프라를 대규모로 확충하는 계획이다.
오픈AI CEO 샘 올트먼은 뉴욕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자금은 AI를 일상생활에 더 유용하게 만드는 우리의 사명을 가속화한다”고 말했다.
X에서는 이번 소식에 대한 반응이 뜨겁다. 테크 분석가 @TechBit는 “오픈AI에 400억 달러라니 엄청나다. 소프트뱅크가 AI 패권을 노린다. 스타게이트가 판도를 바꾼다”고 포스팅했다. @AIWatcherX는 “5개월 만에 3000억 달러로 뛴 오픈AI 기업가치—AI 경쟁이 본격화됐고, 마이크로소프트의 영향력이 크다”고 언급했다.
이는 이번 딜의 규모와 파급력을 보여준다.
오픈AI는 일부 AI 모델의 코드를 공개하는 ‘오픈 웨이트’ 방식을 도입할 계획이다. 블룸버그가 전한 이 소식에 대해 X 사용자 @CodeNerd42는 “오픈AI가 오픈 웨이트로 간다? 과감한 선택이다—혁신을 촉진할 수도, 경쟁자에게 열쇠를 넘길 수도 있다”고 썼다.
오픈AI의 강화된 입지와 X의 AI(xAI)와의 경쟁 구도
이번 투자로 오픈AI는 AI 산업의 선두주자로서 입지를 굳혔다. 마이크로소프트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구글, 앤트로픽, xAI 같은 경쟁자와 맞설 기반을 마련했다.
3000억 달러 기업가치는 생성 AI와 대규모 언어 모델에서 오픈AI가 다음 혁신을 주도할 수 있다는 투자자 신뢰를 반영한다.
특히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xAI와의 경쟁 구도가 주목된다. xAI는 최근 X를 330억 달러에 인수하며 AI와 소셜미디어의 결합을 통해 데이터와 유통 플랫폼을 통합했다.
X 사용자 @post_tesla는 “xAI + X 합병은 머스크판 AI 슈퍼앱 전략 시동”이라며 “X를 AI 유통 플랫폼으로, xAI를 엔진으로 삼는다”고 분석했다.
반면 오픈AI는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로 대규모 인프라를 구축하며 기술 상용화에 집중한다.
경쟁의 핵심은 데이터와 컴퓨팅 파워다.
xAI는 X의 방대한 사용자 데이터를 활용해 Grok 같은 모델을 강화하지만, 오픈AI는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자원과 59조 원 자금으로 더 큰 규모의 연산 능력을 확보한다.
X에서 @EcheveriaKorea는 “머스크가 오픈AI, 구글 등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쥐었다”고 주장했으나, 오픈AI의 자금과 인프라 우위는 이를 상쇄할 가능성이 크다.
머스크의 반응과 향후 전망
일론 머스크는 이번 오픈AI 투자 소식에 대해 아직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그러나 X에서 4월 1일 “AI는 진실을 추구해야 한다. 자금만으로 패권을 잡을 수는 없다”는 글을 올리며 간접적으로 경쟁 심리를 드러냈다.
이는 오픈AI의 자금 동원력에 대한 견제로 해석된다.
머스크는 과거 오픈AI 설립에 참여했으나 2018년 방향성 차이로 떠난 바 있어, 이번 소식이 그에게 자극제가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오픈AI의 전망은 밝다. 챗GPT와 기업용 솔루션 등 실용적인 AI 애플리케이션에 집중하며, 이번 자금으로 의료, 교육 등 산업을 재편할 잠재력을 갖췄다.
포브스는 오픈AI가 스타게이트를 통해 AI 인프라를 장악할 가능성을 보도했다.
소프트뱅크 대변인은 월스트리트저널에 “이건 단순한 자금 문제가 아니라 AI의 미래를 확보하는 것이다”라고 밝혔다.
반면, xAI는 X와의 결합으로 민첩성과 사용자 접근성을 강점으로 내세운다. 블룸버그는 xAI가 소셜미디어 데이터를 활용해 실시간 AI 서비스를 강화할 가능성을 언급한다.
그러나 오픈AI의 막대한 자금과 인프라 규모는 xAI가 단기간에 따라잡기 어려운 격차로 평가되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오픈AI는 규모의 경제를, xAI는 데이터의 민첩성을 무기로 삼아 AI 시장의 양대 축을 형성한다”고 분석했다. 이 경쟁은 기술 혁신을 가속화하며 AI 산업의 판도를 재편할 전망이다.
- Copyright, SNS 타임즈 www.sns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