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교육청, ‘세종미래장학’으로 학교 자율성 강화 나선다
교육활동 중심 장학 혁신… 초등 수석교사제 등 신설
[SNS 타임즈] 세종시교육청이 학교 교육력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장학 혁신 방안인 ‘세종미래장학’을 추진한다.
최교진 세종시교육감은 4월 3일 언론 브리핑에서 “모든 학생의 특별한 성장을 돕기 위해 학교가 자율성과 주도성을 바탕으로 교육과정, 수업·평가, 생활교육에 집중할 수 있도록 장학 체계를 고도화한다”고 밝혔다.
(관련 현장 live 방송: https://www.thesnstime.com/mujogeon-raibeu-sejongsigyoyugceong-sejongmiraejanghag-cujin-4-3il/)
자율과 전문성 기반 학교로의 전환
최 교육감은 미래 사회의 다양성과 역동성에 대응하려면 핵심 역량을 갖춘 인재를 길러내는 학교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이를 위해 자율성과 전문성을 기반으로 한 ‘교육활동 중심의 학교’로의 전환이 핵심이다.
최교진 교육감은 “지난해 학교지원본부를 출범하며 교사 업무 경감과 지원 강화를 통해 이런 변화를 뒷받침해왔다”며 장학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세종미래장학은 네 가지 주요 과제를 중심으로 설계됐다.
첫째, ‘학교가 이끄는 장학’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 수업 나눔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강화하고, 미래학교 통합예산의 자율권을 확대하며, 세종학교평가에 학생역량진단시스템을 도입한다.
특히 올해 처음 도입된 ‘초등 수석교사제’는 2명의 수석교사를 선발해 수업 및 생활지도 컨설팅과 저경력 교사 지원을 맡기며 질 높은 수업 확산을 꾀한다.
또한 ‘학교자율장학리더교사제’를 통해 초·중·고·특수학교 47곳에서 수업 공개와 동료 컨설팅을 주도한다.
둘째, ‘학교 간 나눔 장학’을 촉진한다.
교사 간 교육활동 공유를 위해 월 1회 주제 중심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지원하고, 장학지원단과 지구별 장학협의체를 통해 사례를 공유한다. 현장연구회와 정책연구회 운영도 강화해 연구 결과가 실천으로 이어지도록 한다.
셋째, ‘교육청-학교 간 협력 장학’을 운영한다. 교육청 부서 간 협력을 바탕으로 학교별 맞춤형 지원을 확대한다. 팀 단위 장학을 도입해 개별 지원에서 통합 지원으로 전환하고, 세종학교평가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한 장학 시스템을 구축한다.
넷째, ‘교육청 장학 기반 재구축’에 나선다. 부서 간 협력적 장학 기반을 마련하고, 정책사업총량제와 신규사업조정위원회를 통해 장학에 집중할 여건을 조성한다. 교육전문직원의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와 한국교원대 협력 학위 과정도 지원한다.
학생 성장 중심의 학교 자치 실현 의지
최 교육감은 “세종의 모든 학교가 교육활동 중심으로 도약해 학생 개개인의 배움과 성장이 존중받는 특별한 교육을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학교가 주도하고, 학교 간 나누며, 교육청과 협력하는 장학 체계를 강조했다.
최교진 교육감은 "세종의 모든 학교가 획일적이지 않고 학교 상황에 따라 다르게, 그 주체의 조건과 역량에 따라 다르게 변화 발전 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또, 최 교육감은 "이 정책을 준비하는데 끝없이 현장 선생님들과 준비했듯이, 시행 단계에서도 현장에서 잘 실현되기 위해서는 어떤 지원이 필요한지, 이것을 저해하는 요소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계속 현장의 의견을 들으면서 보완해 나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면서 "실질적인 학교 자치가 선생님들이 느끼기에도 이루어진다고 느낄수 있을 때까지 최선을 다해 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 Copyright, SNS 타임즈 www.sns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