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scribe to Our Newsletter

Success! Now Check Your Email

To complete Subscribe, click the confirmation link in your inbox. If it doesn’t arrive within 3 minutes, check your spam folder.

Ok, Thanks
테슬라의 '지진 발생 장치’… 진동으로 마천루도 무너뜨릴 수 있어

테슬라의 '지진 발생 장치’… 진동으로 마천루도 무너뜨릴 수 있어

79세 생일 맞아, 충격적 실험 공개... "진동의 공명만으로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도 붕괴 가능"

정대호 기자 profile image
by 정대호 기자

 

[SNS 타임즈] 니콜라 테슬라가 1898년경 뉴욕 휴스턴가에 있던 자신의 연구실에서 진행한 한 실험이 최근 다시 주목받고 있다. 당시 그가 개발한 진동 발생 장치는 주머니에 들어갈 만큼 작았지만, 건물 전체를 붕괴시킬 수 있을 정도로 강력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테슬라는 1935년 자신의 79번째 생일을 맞아 뉴욕커 호텔에서 약 20명의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37~38년 전의 실험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그의 증언에 따르면, 당시 그는 '건물의 진동과 조화를 이루는' 실험을 진행하고 있었다.

이 작은 기계의 진동을 단계적으로 높여가던 중 갑자기 큰 균열음이 들렸다. 테슬라가 조수들에게 소리의 근원을 물었지만 아무도 알지 못했다. 그가 진동을 조금 더 높이자 또 다른 균열음이 발생했다. 테슬라는 그제서야 자신의 장치가 건물의 공명 진동수에 도달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연구실의 무거운 기계들이 흔들리기 시작했고, 건물 전체가 붕괴될 위험에 처했다. 결국 그는 더 큰 피해를 막기 위해 장치를 파괴했다.

당시 현장에 출동한 경찰과 구급대원들에게 테슬라와 그의 조수들은 "지진이 난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후 기자들이 이 장치로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을 무너뜨리는 데 얼마나 많은 힘이 필요한지 물었을 때, 테슬라는 "5파운드의 공기압이면 충분하다"고 답했다. 그는 "적절한 진동 장치를 건물 보에 부착하고, 건물의 고유 진동수와 일치하도록 진동을 높이면 건물이 붕괴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테슬라의 이 진동 장치는 단순한 발명품 이상의 의미를 가졌다. 그는 이를 'Tele-Geo-Dynamics'라 불리는 전 세계적 통신 시스템의 일부로 발전시키고자 했다. 이 시스템은 지구를 통해 음향 진동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전 세계적인 통신망 구축, 선박 항해 유도, 지하 광물 탐사, 지질 조사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었다.

테슬라의 진동 장치는 고정부와 공기 중에 떠 있는 강철 피스톤으로 구성된 단순한 구조였지만, 10Hz에서 1000Hz 사이의 진동을 만들어낼 수 있었다. 전문가들은 이 장치가 '공명 진동의 원리'를 기반으로 한 혁신적인 음파 전송 기술이었다고 평가한다.

이 '지진 기계'는 테슬라의 천재성과 혁신적 사고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여겨진다. 그의 발명품은 오늘날까지도 진동과 에너지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참고 소스: Pond, D., and W. Baumgartner, (1997). Nikola Tesla’s Earthquake Machine: with Tesla’s Original Patents. The Message Company, Santa Fe, NM.)

 

- Copyright, SNS 타임즈 www.snstimes.kr

정대호 기자 profile image
by 정대호 기자

Subscribe to New Posts

Lorem ultrices malesuada sapien amet pulvinar quis. Feugiat etiam ullamcorper pharetra vitae nibh enim vel.

Success! Now Check Your Email

To complete Subscribe, click the confirmation link in your inbox. If it doesn’t arrive within 3 minutes, check your spam folder.

Ok, Thanks

Read More